취준시즌... 믿을수가 없고요
교생도 나가야해요..... 응...
1. 제목 : [단독] 현대차·혼다 만나는 LG "전장 맡겨달라"
2. 참고 기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7661
[단독] 현대차·혼다 만나는 LG "전장 맡겨달라"
[단독] 현대차·혼다 만나는 LG "전장 맡겨달라", LG 주요기업 CEO들 총출동 권봉석 부회장이 미팅 주도 6월부터 완성차들과 잇단 회동 2028년 시장 967兆로 확대 그룹 미래 먹거리…수주에 올인
www.hankyung.com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2620
LG디스플레이 "차량 OLED, 완성차 9곳과 프로젝트 중"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디스플레이가 완성차 브랜드 9곳과 차량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미 차량 OLED를 납품 중인 벤츠와 캐딜락, 올해 말 공급 예정인 제네시스 등 3곳을 포함한
www.thelec.kr
3. 내용 요약
1) LG그룹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가 글로벌 완성차 회사를 잇달아 만난다. LG 전장(차량용 전기·전자장비) 부품과 관련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문의가 쇄도하자 CEO들이 직접 찾아 설명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전장에서 LG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 LG 주요계열사가 글로벌 완성차 기업을 대상으로 비공개 테크데이를 진행함. > LG그룹, 전장 사업은 미래 사업. 계열사별 완성차 1대 1 세일즈가 아닌 그룹으로 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중.
- LG전자 : LG전자 비히클솔루션(VS) 사업본부가 '2025년 자동차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에 선정.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구동 장치 등 생산.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핵심 부품을 현대차에 납품.
- LG디스플레이 : 차량용 탠덤 OLED 양산, 납품. 올해말 30인치 이상 차량 OLED 양산을 목표로 함. OLED 채용 완성차 브랜드가 빠르게 증가중. 2030년 점유율 30% 상회 예상.
- LG에너지솔루션 : 전기차 배터리
- LG이노텍 : 차량조명묘듈,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부가 반도체 기판 등
탠덤 OLED: 적(R)녹(G)청(B) OLED 발광층을 2개층으로 쌓은 투 스택 탠덤(Two Stack Tandem) 방식 OLED. 기존 제품보다 제품 수명이 길다.

3) 자동차 산업 중 전장 시장에 대하여
3-1) 자동차산업은 내연기관차 → 전기차, SDV 중심으로 변화중. 자동차 또한 움직이는 '기계'에서 '전자제품'으로 변화하였고, 제어하고 계산하는 전장이 부각됨.
3-2)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세계 전장 시장 규모는 지난해 4000억달러(약 552조4800억원)에서 2028년 7000억달러(약 966조8400억원)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4년만에 1.75배로 성장.
3-3) LG전자는 전장 사업에 2013년부터 과감한 투자를 해옴. 2022년 흑자 전환 성공 이후 각 계열사가 전장 산업을 확대하고 있음. 올해는 수주 확대에 집중 할 계획일듯.
- 전자업계 관계자는 “LG그룹이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강화하면서 전장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키우기 위해 전사적 차원에서 고객사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 가장 혁신적 車기업"…美 패스트컴퍼니 선정
: 부품 공급과 차량 전반의 혁신 솔루션(SDV)에 주력.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디지털 콕핏, 텔레매틱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비롯한 다양한 SDV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함.
: 타 선정사로는 Waymo, BYD, UL solutions, 엔비디아, 메르세데스 밴츠, RIVIAN, 퀄컴, Michelin, Formula 1
→ 완성차 업계의 회사 수가 4곳. 배터리나 반도체, 소프트웨어 분야의 회사가 4자리를 차지함. 자동차의 한계를 시험하는 모터스포츠 경기 F1이 10위로 선정되어 신기함. F1의 경우 2026년 부터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구축을 규정하였고, 차량 한 대에 수천개의 센서가 있어 데이터 수집이 유리하며 시속에 따른 성능 최적화가 가능하다고 함.
→ 즉 레이스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차량의 지속적인 발전, 기술 추가 등이 요구됨.
→ 미슐랭? 이라고 하는 회사는 타이어 전문 회사인데, 전기차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타이어를 생산한다. 71%가 재활용 가능이라는 장점이 있음.
'대외활동 > 신문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스터디] 왜 지금 금값이 오르는가? (0) | 2025.02.20 |
---|---|
[신문스터디] 메타버스 ETF 상장 폐지 (0) | 2025.02.06 |
[신문스터디] 한국은행 환매조건부 채권 (RP) (0) | 2025.01.15 |
[신문스터디] 세금 환급 서비스 (0) | 2025.01.08 |
[신문스터디] 기업 덮친 'R의 공포'…SK·롯데·CJ, 알짜자산 팔아 곳간 채운다 (2)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