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다,,, 과제가 뭐 이리많고 외울것도 얼마나 넘쳐나는지
얼른 종강을 내게.... 벌써 방학이 그리워 ㅠ
1. 제목 :홍콩ELS 선제 배상나선 우리은행
2. 참고 기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31886691
홍콩 ELS 선제 배상 나선 우리銀에…'눈치싸움' 벌어졌다
홍콩 ELS 선제 배상 나선 우리銀에…'눈치싸움' 벌어졌다 , 수조원 판 은행들 눈치싸움 판매규모 작은 우리, 배상 속도 "평균 배상비율 35~40% 수준" 타은행 "최대한 늦춰달라" 요청 금융당국은 연일
www.hankyung.com
https://www.etoday.co.kr/news/view/2339879
'배임' 아니라는 금융당국에 은행권 '난감'…홍콩 ELS 자율배상 줄다리기
금융당국 수장들이 연이어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배상이 배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은행권은 진퇴양난에 빠졌다.
www.etoday.co.kr
3. 내용 요약
1) 우리은행이 다음달 초 시중은행 중 처음으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에 대한 자율배상에 나선다. 다른 은행보다 판매 및 손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선제적 배상을 통해 ‘ELS 악몽’을 떨쳐내겠다는 취지 + 다음달 12일 또 한 차례 홍콩 H지수 관련 ELS 만기가 오는 만큼 그전에 선제적 배상에 나서겠다는 입장.
2) 배상 기준?
: 우리은행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 배상 비율이 35~40% 수준일 것으로 예상됨.
: 앞서 금융당국은 은행과 증권사가 2021년 이후 판매한 홍콩 H지수 ELS 투자 손실의 최대 100%까지 배상할 수 있다는 ‘차등 배상’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 금감원은 판매사의 기본 배상 비율을 20~40%로 하되 판매사와 투자자의 과실 여부에 따라 배상 비율을 가감하는 방식의 분쟁 조정기준안.
- “ 타 은행의 경우 판매규모가 커 다수 사례가 20∼60% 범위에 분포할 것”이라고 예상
- 우리은행의 판매 규모는 400억원에 불과하다. 배상 비율은 약 35~40%대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
4-2) 주요 시중은행의 경우 외국인 주주가 60~70%에 달하면서 배임과 수천억원대 소송에 대비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
- 금융당국은 은행을 상대로 조기 배상을 압박하며 배임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함. 그러나 시중은행 이사회 설득에는 시일이 걸림. 또한 회사와 주주간의 문제를 무시할 수 없을 것.
-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으로 법적 규제와 절차 등이 크게 강화됐지만 일부 판매사는 고객 손실위험이 커진 시기에도 불완전판매를 조장한 측면이 있었다”
'대외활동 > 신문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스터디] 대출부실 새마을금고 (1) | 2024.04.04 |
---|---|
[신문스터디] 옵티머스 사태 다자배상 첫 인정. (0) | 2024.03.28 |
[신문스터디] 한은은 왜 '금'을 안살까? (0) | 2024.03.12 |
[신문스터디] 통신사 법률 위 표류하는 알뜰폰 (0) | 2024.03.07 |
[신문스터디] 선택근무제 행정단속 (1) | 2024.03.01 |